Redis 요약 정리

 

 

레디스에 대해서는 오랜만에 글을 정리하는 것 같네요. 최근 레디스에 대해 정리하면서 간단하게 요약 했던 내용들입니다. 아마 다른 분들이 우아한 레디스를 보고 정리한 내용들하고 큰 차이가 없는 정도이고, 그냥 아는 선에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Redis Cluster와 Sentinel의 차이점

 

Sentinel

  • Redis의 HA 솔루션
  • Master/Slave 리플리케이션
  • Sentinel의 프로세스
    • redis와 별도의 프로세스
    •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소 3개 이상은 Sentinel 인스터스 필요(failover를 위한 과반수 이상 Vote 필요)
    • M/S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과 문제 발생시 Auto Failover
    • Sentinel을 통해 접근
  • Failover 동작방식
    • Sentinal 인스턴스 과반 수 이상이 Master 장애를 감지하면 Slave 중 하나를 Master로 승격시키고 기존의 Master는 Slave로 강등.
    • Slave가 여러개 있을 경우 Slave가 새로운 Master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재구성.
    • 과반 수 이상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만약 어느 sentinel이 단순히 네트워크 문제로 master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데, 그 때 실제로 Master는 다운되지 않았으나 연결이 끊긴 sentinel은 Master가 다운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
    • SDOWN : Subjectively down(주관적 다운)
      • Sentinal에서 주기적으로 Master에게 보내는 PING과 INFO 명령의 응답이 3초(down-after-milliseconds 에서 설정한 값) 동안 오지 않으면 주관적 다운으로 인지 센티널 한 대에서 판단한 것으로, 주관적 다운만으로는 장애조치를 진행하지 않음.
    • ODOWN : Objectively down(객관적 다운)
      • 설정한 quorum 이상의 Sentinal에서 해당 Master가 다운되었다고 인지하면 객관적 다운으로 인정하고 장애 조치를 진행.
  • failover시 주의 사항
    • get-master-addr-by-namez
      • Master, Slave 모두 다운되었을 때 Sentinel에 접속해 Master 서버 정보를 요청하면 다운된 서버 정보를 리턴한다. 따라서 INFO sentinel 명령으로 마스터의 status를 확인해야 한다.
    • Slave -> Master 승격 안되는 경우
      • Slave다운 → Master다운 → 다운된 Slave재시작되면 이 서버는 Master로 전환되지 않는다. Slave의 redis.conf에 자신이 복제로 되어 있고, sentinel도 복제라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. 해결책은 Slave가 시작하기 전에 redis.conf에서 slaveof를 삭제하는 것이다.
    • Failover Timeout 만큼 write 연산 실패
      • 데이터량에 따른 최적의 Failover Timeout값을 찾고 sentinel.conf에 적용해야 한다.
  • 단일 인스터스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Reids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
  • One Master 구조이기 때문에 사이즈가 커지면 scale-up을 해야함.

 

Cluster

  • Redis가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클러스터링 시스템
  • HA 및 Sharding 지원
    • 모든 데이터는 Master 단위로 샤딩되고 Slave 단위로 복제.
    • Master 마다 최소 하나 이상의 Slave를 권장
  •  클러스터 단위의 HA 구성 (Master Cluster/ Slave Cluster)
    • Master 노드가 Shutdown 되면 gossip protocol을 이용해 상태를 확인하고, Slave중 하나를 Master로 승격.
    • gossip protocol: Redis 노드간에 직접 연결되어 상태를 확인, Redis Client가 이용하는 Port번호보다 10000높은 port 번호를 이용
    • 기존의 Master가 재구동되면 Master로 승격된 Slave의 새로운 Slave로 자동 구성됨.
    • 과반수 이상의 노드가 다운되면 Cluster가 깨짐.
    • Replication은 Async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데이터 정합성이 깨질 수 있는데, Master가 된 Data를 기준으로 정합성을 맞춰야 함.
  • Hash Slot을 이용해 데이터를 Sharding
    • Hash Slot: CRC-16 Hash Function을 이용해 key를 정수로 변환하고 해다 정수값을 16385로 모듈 연산한 값
    • Cluster는 16384개의 Hash Slot을 가지며, Master Cluster에 자유롭게 할당(Master 노드의 수만큼 16384의 슬롯을 분할)
    • 저장된 key를 hashslot으로 맵핑하기 위한 테이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Memory Overhead가 발생, key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짐.
    • 최대 1000개까지 확장 가능
    • 노드 추가/삭제시 운영 중단 없임 Hash Slot 재구성 가능
    • failover가 발생한다면, 슬레이브가 마스터로 승격할 때까지, 문제가 발생한 마스터로 할당된 Hash Slot의 키는 사용할 수 없음.
    • Key 이동 시에 해당 Key에 일시적인 Lock이 발생
    • 쿼리를 받은 노드가 해당 쿼리를 분석
      • 해당 키를 자기 자신이 갖고있다면 바로 찾아서 값을 리턴
      • 그렇지 않은경우 해당 키를 저장하고 있는 노드의 정보를 리턴 (클라이언트는 이 정보를 토대로 쿼리를 다시 보내야함)
  • Redis Cluster를 지원하는 Client를 사용해야 샤드에 맞는 데이터 엑세스가 가능 (predixy 등)
    • 클라이언트가 redis에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, 올바르지 않은 master node에 요청하면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알려주고 client에게 알려주고 client는 제대로 된 주소에 다시 요청한다.
  • Redis Cluster는 오직 0번 데이터베이스만 사용가능.(단일 인스턴스 처럼 0~15의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사용이 불가능)
  • Hash Slot 테이블에 의한 메모리 사용량 증가
  • 마이그레션 관리가 필요
  • 라이브러리 구현이 필요

 

Redis 샤딩

  • 데이터 분산
    • Consistent Hashing 아키텍처를 사용
    • 일반 모듈러 해싱은 서버가 장애/추가 될 때마다 여러 서버에서 걸쳐 데이터 리밸런싱이 일어난다.
    • Consistent Hashing은 자기 해시보다 크고 가장 근접한 해시를 가진 서버 찾아간다. 따라서 서버 장애/추가 될 때에 N분의 1만큼만 이동하게 된다.
    • Consistent Hashing도 실제 부하를 아주 균등하게 나누지는 않음. Adaptive Consistent Hasing을 이용해 볼 수도 있음
  • 샤딩
    • Range: 특정 Range를 정의하고 속하는 Range에 저장 –> 데이터가 일정 Range에 몰리거나 비어있을 수 있다.
    • Modular를 사용할 경우 하나씩 추가하면 데이터 리벨린싱이 빈번하게 발생함으로 *2만큼 늘려준다면, 규칙적으로 데이터들이 이동한다.
    • Indexed: 해당 key가 어디에 저장되어야 할 관리 서버가 따로 존재, 단 인덱스 서버가 죽으면 심각한 장애

 

Data Persistence (데이터 영속성)

  • In-Memory DB이지만 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능이 있음
  • 메모리를 여유있게 유지해야 함
  • 영속성 유지가 필요하면 Slave에서만 진행
  • 정기적인 Migration이 필요

 

  • RDB
    • 주기적으로 point-in-time snapshot을 생성
    • 작은 단일 파일로 저장
    • 부모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를 Fork. Fork된 프로세스에서 Persist I/O 처리
    • restart 시간이 짧음
    • 멈췄을때 데이터 유실 가능성이 있음
  • AOF (Append Only File)
    • 모든 Write Operation을 Log로 기록하고, 재시작 시점에 Replay
    • 데이터 양이 많아지면 해당 시점의 데이터셋을 만들어낼수도록 하는 최소한의 log 들만 남기고 압축한다.
    • 읽기 쉬운 포맷이이지만 RDB보다 용량이 큼
    • Write 요청이 많을 때 RDB보다 반응성이 느림

 

Redis 사용시 주의사항

  • Collection 안에 너무 많은 아이템 사용금지 (1만개 이하)
  • Expire는 아이템 단위가 아닌 Collection 단위로 동작
  • 철저한 메모리 관리 필요. Redis는 자기가 사용하는 정확한 메모리 양을 모름. 파편화가 발생함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수
  • 작은 인스턴스 여러개로 사용할 것. Write가 많은 Redis는 메모리를 두 배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, 그 경우 퍼포먼스가 극단적으로 떨어짐
  • Hash, Sorted Set, Set은 메모리 사용이 많음. Ziplist 사용하면 속도는 떨어지나 메모리 관리에서 이점이 있음
  • 싱글 스레드이므로 시간이 오래걸리는 명령어에 주의 (KEYS, FLUSHALL, FLUSHDB, Delete Collections, Get All Collections), 데이터 호출시엔 1000개 이하 권장
  • Replication 사용시 주의사항
    • now()는 Master와 Slave에서 다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음.
    • redis-cli –rdb 명령은 메모리 스냅샷을 가지고 오기 때문에 서버가 죽을수 있음
    • Replication lag이 일정 이상 발생하는 경우 커넷션을 끊고 다시 연결하는 과정에 많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음
  • redis.conf 권장 설정
    • Maxclient: 5000
    • RDB/AOF: off
    • 특정 커맨드 Disable (못사용하게 설정 파일에서 막을수 있음)
    • 전체 장애의 90% 이상이 KEYS와 SAVE 설정을 사용해서 발생 (save 설정은 1초안에 키가 N개 바뀌면 dump하라는 설정)

 

여기까지 레디스에 대한 요약 정리입니다. 핵심적인건 다 담은것 같네요.

소셜 미디어로 공유하기

You may also like..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.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.